거시경제학은 크게 봤을 때 미시경제학과 더불어 경제학을 이루는 양대 학문 중 하나로, 나무가 아닌 숲 전체를 보는 개념의 학문이다. 거시경제학은 모든 개별경제주체의 상호 작용의 결과 때문에 나타나는 한 국가의 전체적인 경제 현상에 대해 분석하며, 이를 통해 국민소득, 물가, 실업, 환율, 국제수지 등 실물경제의 전반을 측정할 수 있다. 즉 경제 전체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결정요인과 이러한 변수들 간의 상호 관련성, 국민소득의 변화를 설명하는 경제 성장이론, 그리고 단기적으로 실업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경기변동이론을 연구함으로써 총체적이면서도 거시적인 관점에서 경제를 서술한다.
국민경제 순환모형은 경제주체가 여러 시장에서 서로 거래하는 것을 모형화한 것을 말한다. 가계는 생산요소를 공급하여 소득을 얻는다. 이것을 요소소득이라고 하며 이 요소소득으로 생산물을 구입한다. 기업은 생산물을 판매해 얻은 수입으로 요소비용을 지급하여 생산요소를 구입한다. 이러한 경제적 순환이 지속해서 일어나면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소비와 투자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모형에 정부와 외국이라는 경제주체를 추가하면 경제순환을 통해 일정 기간 이루어지는 저축, 소비, 투자, 무역수지 등을 측 절하고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국민소득을 측정할 수 있다.
기업은 다른 기업과 중간재를, 그리고 가계 부분에서 채권, 주식, 토지 등과 같은 자산을 사고판다. 이러한 거래는 합하면 결구 0이 되므로 국민경제 순환모형에서는 나타내지 않는다.
저축 중 금융시장으로 유입되는 것은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가 아니며, 재화에 대한 수요 또한 아니다. 가계 소득은 주로 저축과 소비의 용도로 사용되는데, 저축이 늘어나면 소비가 줄어든다. 저축은 국민소득의 순환과정에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누출 이라고도 부른다.
투자는 금융시장에 있던 자금이 자본형성에 새로이 써지게 됨을 뜻한다.
국내 총생산은 경제의 규모와 경제 활동의 정도를 측정하는 변수로서 국내총생산(GDP)이 많이 사용된다.
GDP는 일정 기간 한 국가에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시장 가치를 합한 것을 의미하며 보통 1년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실질 GDP는 생산의 가치를 기준 연도 가격으로 계산한 것을 말한다. 주로 과거 대비 경제 비교, 경제성장률을 측정할 때 이 GDP를 사용한다. GDP에도 한계가 존재하는데 시장을 통하지 않고 거래되는 재화,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파괴나 재해, 총량 개념이기 때문에 소득 분배 상황을 보여주지 못하고, 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초과 생산 등으로 수치가 부풀려질 수 있는 하계가 있다.
명목 GDP란 생산의 가치를 경제활동이 발생할 때의 가격으로 계산한 것을 말한다. 그러나 생산량은 그대로여도 시장가격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량이 변한 것처럼 오해할 수 있으므로, 가격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척도가 필요해질질 GDP가 만들어졌다.
인플레이션은 거시경제학에서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인플레이션은 생필품이나 자잿값을 상승시켜 기업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경제에 왜곡을 일으킨다.
거시경제학은 크게 봤을 때, 고전학파와 케인스 학파로 나뉜다.
고전학파는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가격이 저절로 정해지고 가격이 높거나 낮아도 저절로 조정이 되기 때문에 정부의 개입을 적극적으로 반대한다. 현대에는 신고전학파가 계승하고 있다
케인스 학파는 산업혁명으로 자본주의가 생겨났을 때 불황 또한 올 수 있다. 대공황을 겪으면서 시장 경제체제의 자체 능력으로 불황을 극복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정부가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을 통한 수요를 늘리고 시장의 불안한 점을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대에서는 신 케인스 학파에 의해 계승하고 있다
경제 대공황은 미국 역사상 가장 길었던 경제 위기로 1929년부터 1939년까지 지속되었다.
1870년대와 1890년대의 경제위기에 의한 압박으로 인플레이션이 초래되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정책이 시행 되었으면 국내총생산이 호전되는 듯했으나, 5년도 안 되어 원래의 수준으로 돌아갔다. 원인은 초반에는 대공황은 올 수 없을 것 같이 느껴졌다. 실업률이 낮아 완전고용의 형태로 향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정부의 많은 정책으로도 경기는 점점 침체하게 되었고 많은 경제학자가 원인을 찾았지만 명확한 원인은 없었다. 저축이 늘고 지출이 줄어서 발생했기도 했고 오늘날에는 금본위제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통화 정책은 화폐 정책이라고도 불리며 정부와 중앙은행이 국가의 화폐 공급, 유용성, 화폐가치, 금리 등의 정책을 시행할 때, 경제 성장이나 안정성을 유지토록 하기 위해 수행하는 조치를 말한다. 통화를 더 많이 공급하거나 줄이면서 국내경제의 흐름을 통제하고 조절하려는 정책이다.
화폐 정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팽창적 화폐 정책과 긴축적 화폐 정책이 있다. 팽창적 화폐 정책은 말 그대로 화폐의 양을 늘려서 금리를 낮추고 실업률이 줄어들도록 만들어 경제 성장을 돕고, 긴축적 화폐 정책은 화폐의 통화량을 줄여 금리와 이자율을 올려 인플레이션을 억제해 경제 침체가 올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중앙은행의 역활이 중요하다.
중앙은행은 화폐를 발행 및 통화량 조절을 위해 운영되는 은행이다. 한 국가에는 중앙은행이 존재하고 자국의 화폐를 관리한다.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은 1950년 설립되었다.
중앙은행의 주요 권한은 화폐를 발행할 수 있고 통화량 조절을 위한 기준금리 결정과 지급준비율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그리고 중앙은행의 최우선 과제는 인플레이션을 방지해 국가의 경제침체를 예방하는 데 있다. 중앙은행은 상업적 업무를 하지 않는다. 시중은행들에 권한을 어느 정도 양도해 상업적 업무는 시중은행에서 한다.
본래 화폐는 중앙은행이 아닌 여러 은행에서 자체적으로 발급하였으나, 화폐의 통일성이 없고 신뢰도가 떨어져 뱅크란 등의 문제가 생겨 오늘날에는 화폐는 중앙은행에서 관리한다.
경제
경제학 공부 5
반응형
반응형
댓글